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MLOps
- 리눅스
- 데이터 아키텍처
- yarn
- fluentd
- 파이썬처럼생각하기
- Tabular
- Minikube
- Kubernetes
- AWS Glue
- Kubeflow
- 쿠버네티스
- etl
- 하이브
- TABNET
- 데이터 플랫폼
- 쿠버플로
- Spark
- MachineLearning
- gcp
- Kibana
- 쿠버플로우
- 파이썬답게생각하기
- 머신러닝
- elk
- mesos
- Python
- 파이썬
- Opensearch
- hive
- Today
- Total
데이터를 걷는 선비
[Kubeflow] 로컬에서 Kubeflow 빠르게 실행하기 본문
https://semizero.tistory.com/36
[Kubeflow] Minikube로 Kubeflow(v1.7) 설치하기
[순서] 1) WSL 2 설치하기 2) Docker 설치하기 3) minikube 설치하기 4) Kubeflow 설치할 버전 확인하고 종속된 버전들 확인하기 5) Kustomize 설치하기 6) Kubectl 설치하기 7) Kubeflow manifests 내려받기 8) Kustomize로 m
semizero.tistory.com
지난 포스트에서 minikube로 Local 에서 Kubeflow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
그렇지만 로컬 환경의 경우,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minikube 역시 중단이 되기에,
다시 minikube를 켜고 Kubeflow 를 가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.
그렇기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어떻게 하면 아래의 커맨드를 복붙하는 것만으로 Kubeflow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.
rm /tmp/juju-*
sudo service docker start
unset DOCKER_HOST
unset DOCKER_TLS_VERIFY
unset DOCKER_TLS_PATH
minikube start --driver=docker --cpus='4' --memory='8g' --kubernetes-version=v1.25.2 --extra-config=apiserver.service-account-signing-key-file=/var/lib/minikube/certs/sa.key --extra-config=apiserver.service-account-issuer=kubernetes.default.svc --force
cd manifests
while ! kustomize build example | awk '!/well-defined/' | kubectl apply -f -; do echo "Retrying to apply resources"; sleep 10; done
kubectl port-forward svc/istio-ingressgateway -n istio-system 8080:80
rm /tmp/juju-*
https://eunsour.tistory.com/87
[Error] minikube unable to open /tmp/juju-mkb7aeee46cbc538b25888dfad3e62407ad50c5a: permission denied 에러
minikube kubectl -- config view --flatten Error caching kubectl: failed to acquire lock "/root/.minikube/cache/linux/v1.21.7/kubectl.lock": {Name:mkb7aeee46cbc538b25888dfad3e62407ad50c5a Clock:{} Delay:500ms Timeout:1m0s Cancel:}: unable to open /tmp/juju-
eunsour.tistory.com
sudo service docker start
unset DOCKER_HOST
unset DOCKER_TLS_VERIFY
unset DOCKER_TLS_PATH
https://thinkpro.tistory.com/149
[Ubuntu 18.04 / Docker]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://XXX or tcp://XXX 에러가 날 경우
이 에러와 관련해서 이미 여러 블로그 포스팅이 있지만 한글로 된 포스팅 중에서 내 문제를 해결해준 경우는 없었다. 통상적으로 docker를 깔고 난 후 바로 docker ps 명령어 등을 하였을 때도 에러
thinkpro.tistory.com
minikube start --driver=docker --cpus='4' --memory='8g'
--kubernetes-version=v1.25.2
--extra-config=apiserver.service-account-signing-key-file=/var/lib/minikube/certs/sa.key
--extra-config=apiserver.service-account-issuer=kubernetes.default.svc
--force
cd manifests
while ! kustomize build example | awk '!/well-defined/' | kubectl apply -f -; do echo "Retrying to apply resources"; sleep 10; done
kubectl port-forward svc/istio-ingressgateway -n istio-system 8080:80
'Machine Learning > ML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ubeflow] Kubeflow Pipeline 첫 파이프라인 만들어보기 (1) | 2024.01.08 |
---|---|
[Kubeflow] Kubeflow 내장 Minio 활용하기 (2) | 2024.01.04 |
[Kubeflow] Kubeflow Pipeline 파이프라인 개념 정리 (1) | 2024.01.02 |
[Kubeflow] Kubeflow 유저 추가하기(유저 분기처리하기) (1) | 2023.12.26 |
[Monitoring] Prometheus & Grafana 개념 및 실습 (0) | 2023.08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