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Tabular
- etl
- yarn
- mesos
- 쿠버플로우
- MachineLearning
- MLOps
- 하이브
- elk
- 쿠버네티스
- AWS Glue
- 파이썬처럼생각하기
- Opensearch
- 파이썬
- gcp
- Kubernetes
- 파이썬답게생각하기
- 쿠버플로
- Kubeflow
- Kibana
- 리눅스
- 데이터 플랫폼
- Minikube
- 머신러닝
- TABNET
- 데이터 아키텍처
- Python
- Spark
- fluentd
- hive
Archives
- Today
- Total
데이터를 걷는 선비
[Linux] 파일 시스템 이용을 위한 명령어 본문
[리눅스에서 경로 기본]
- / : root. 시스템의 가상 시작
- ~ : home/사용자 계정: 로그인한 유저의 home 경로, 환경변수로 바꿀 수 있음
- / : 디렉토리 구분자
- .. : 상위 디렉토리
- . : 현재 디렉토리
리눅스를 처음 접할 때 윈도우에 비해 가지런히 정렬된 것처럼 느껴지는 파일 구조를 통해 명령어로 조작을 할 수 있는 점이 신기했다.
다만, 꽤 오랜 기간 동안 root의 경로와 home의 경로를 같다고 인지하고 있었는데, 이는 완전히 잘못된 인지였다. root의 경로와 home의 경로는 아래 트리와 같이 명백히 다르다.
" cd ../ "(상위 디렉토리로 이동) 명령어를 통해 ~로 표시된 경로가 /home/semizero(사용자계정)임을 알 수 있다.
[pwd]
- Print Work Directory의 약자
- 현재 터미널이 위치한 디렉토리 경로를 볼 수 있다.
[ls]
- List Segments의 약자
-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정보를 보여줌
- ls -al : 숨김 파일과 파일의 모든 정보를 표시
- ls -il :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inode number를 표시(inode는 인덱스, 번호라 생각하면 된다.)
[cd]
- Change Directory의 약자
-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
- 기본은 현재 위치부터 상대 경로로 이동, root(/)부터 모든 경로로 입력하면 절대 경로로 이동
[mkdir]
- Make Directory의 약자
- 기본은 상대경로로 생성, root(/)부터 모든 경로를 입려가면 절대 경로에 디렉토리 생성
[rm]
- Remove
- 지정한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, 지울 것인지 한번 물어본다.
- -f 옵션 사용시 강제 삭제
- -r 옵션 사용시 디렉토리와 디렉토리 안의 모든 내용 삭제
[rmdir]
- Remove Directory
- 디렉토리 삭제: rm -r 명령어로 대신
[df / du]
- Disk Filesystem / Disk Usage
- 디스크 공간에 대한 정보/ 디스크 사용량 등을 볼 수 있다.
- -h : human readable 옵션과 많이 쓴다.
[chmod]
- change mode의 줄임말로, 파일의 접근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!!(중요)
- 파일 권한의 종류는 r(read), w(write), x(execute) 세 가지 종류가 있다.
- 파일 권한의 범위는 u(user, 파일 소유자), g(group, 그룹), o(otehr, 그 외 사용자)가 있다.
-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(a, all)도 있다.
- 변환 방법에는 +(추가), -(제거), =(지정) 이 있다.
- users, group, others 각각 3자리의 2진수로 표현된 파일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.
- 즉, 파일의 mode가 644면 앞에 6에 해당하는 user(owner)는 read(4)+write(2)이 가능하며, 4에 해당하는 group과 others는 read(4)만 가능함을 의미한다.
'Develop > 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회사에서 WSL2 때문에 컴퓨터 용량이 터질 것 같을 때! (0) | 2023.07.21 |
---|---|
[Linux] I/O 관련 명령어 (0) | 2023.01.16 |
[Python] 함수 (1/2) (0) | 2023.01.08 |
[Python] 리스트와 딕셔너리 (0) | 2023.01.06 |
[Python] 파이썬답게 생각하기 (2/2) (0) | 2023.01.05 |
Comments